생활정보

2025년 맞벌이 부부 세테크: 소득분산 & 장려금으로 세금 폭탄 피하는 완벽 가이드

insight9363 2025. 6. 27. 10:02
반응형

 

 

1. 소득분산 전략 - 부부라서 가능한 절세의 기술

솔직히 세금은 소득이 많을수록 올라가잖아요?
이걸 아예 줄일 수는 없지만, 가족 간 소득을 분산해서 누진세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 있어요!

 

Q. 소득분산은 어떻게 하나요?

간단합니다.

 

예시) 부부 중 남편 소득이 연 9,500만 원, 아내는 2,000만 원일 경우
- 남편 혼자 고소득이면 높은 세율(35%)이 적용되기 때문에 세금 부담 큽니다.
- 이때 아내 이름으로 연금저축보험, IRP, 주식계좌 등 절세계좌를 적극 활용하고,
- 세액공제 가능한 지출(기부금, 교육비, 의료비 등)을 아내가 하는 방식으로 분산하면 혜택을 두 배로 받을 수 있어요.

 

✅ TIP! 사업소득자라면?

부인이 프리랜서나 개인사업자라면,
가족에게 업무를 맡기고 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소득분산도 가능해요.
단, 실제로 근로를 제공해야 하고 적정한 대가여야 하니 꼭 세무사와 상담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2. 근로·자녀 장려금, 놓치면 손해!

요즘 많이들 얘기하시는 근로장려금(LIE)과 자녀장려금(CTC),
맞벌이 부부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충분히 있어요!

 

✅ 2025년 근로장려금 자격요건 (맞벌이 기준)

  • 가구 총소득: 3,600만 원 미만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 재산요건: 부부 합산 재산 2억 4천만 원 미만
  • 거주 요건: 대한민국 거주자, 6개월 이상 동일 가구 유지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자녀가 있고, 위 소득요건에 해당되면 최대 80~100만 원까지도 받을 수 있어요.

※ 신청은 매년 5월 (정기), 9월~11월 (반기 신청)
홈택스 또는 ARS로 간단하게 신청 가능!

 

 

 

 

 

3. 부양가족 & 공제 항목은 나눠서 챙기세요!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이거예요!
부양가족 공제는 아무나 해도 되는 게 아니라, 소득에 따라 유리한 쪽이 따로 있어요.

누구 앞으로 공제받으면 좋을까?

 

예를 들어, 남편(고소득자)이 75세 아버지의 부양가족 공제를 받는 경우
⇒ 고세율 적용되어 공제효과 큼 (최대 100만 원 넘는 효과 가능)

하지만 반대로 아내에게 공제 넘기면?


⇒ 소득세가 적어서 공제금액 자체가 작음.

=> 고소득자가 공제받는 게 유리!

 

단,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보험료 등은 소득이 적은 사람이 공제받는 게 더 이득일 수 있어요.
그래서 꼭 ‘누가 어떤 공제를 받을까요?’는 가계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해요.

 

 

4. 알면 쏠쏠한 절세 팁들

연금저축 + IRP = 세액공제 꿀!

 

  • 1인당 최대 900만 원 세액공제 가능
  • 세율이 낮아도 약 13.2~16.5% 환급

 

연말정산 때 돌려받는 꿀팁 중 꿀팁이에요!
부부 각각 가입하고, 소득 낮은 사람도 꼭 챙기세요.

 

 

5. 이런 실수, 하지 마세요!

Q. 둘 다 의료비 공제 신청해도 되나요?

의료비는 가족 구성원이 1명이 대표로 신청해야 합니다.
부부가 나눠서 공제 받으면 중복 공제돼서 가산세 나올 수 있어요!

 

 

 

 

 

 

6. 자주 묻는 세금 Q&A

Q1. 부부 모두 소득이 있어도 부양가족 공제 서로 중복되나요?
NO! 부양가족 공제는 1명만 가능해요.
자녀나 부모님을 두 명이 동시에 공제받으면 가산세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한 명만 신청해야 합니다.

 

Q2. 아내가 직장 그만두면 장려금 신청 가능할까요?
네! 퇴사 후 연 소득이 요건을 충족하면 가능해요.
단, 퇴사 시점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니 부부 합산 소득 계산 후 홈택스에서 사전 조회해보세요.

 

Q3. 연말정산 미리 준비하려면 언제부터 해야 하나요?
9월부터 준비하는 게 가장 좋아요.
그때부터 각종 영수증 모으기, 연금저축 투자, 가족 공제계획 짜기 시작하면 12월에 허둥지둥 안 하고 알차게 준비할 수 있어요.

 

 

7. 혹시 문제가 생겼다면?

세금 문제로 부당한 추징 통보 혹은 장려금 누락 통보를 받으면?

 

  1. 국세청 홈택스 마이홈 > 예상세액 조회 및 이의신청 가능
  2. 동의되지 않으면 세무서 민원실 직접 방문도 가능
  3. 답답하면 세무사 무료 상담 이벤트 활용해보세요 (예: 국세청 홈페이지 혹은 지자체 프로그램)

 

8. 마무리하며…

맞벌이라 더 열심히 일하지만, 세금 때문에 힘들었던 경험 많으셨죠?
2025년엔 조금이라도 세금은 덜 내고, 장려금은 더 챙기는 똑똑한 전략으로
가정 경제에 진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분들과도 공유해 주세요.
같이 함께 똑똑한 세테크, 시작해봐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아요 ♥ + 구독도 해주시면 저에겐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