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경제금융용어 - 변동금리부채권(FRN)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로이스토리 2023. 6. 28. 18:00
반응형

안녕하세요. 로이입니다.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경제금융용어 정리 시간입니다.

경제용어, 금융용어를 알아야 경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변동금리부채권(FR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동금리부채권(Floating Rate Note, FRN)은 이자율이 시장 조건에 따라 변동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이는 대출 또는 채권 발행자가 발행한 채권의 이자율이 일정하지 않고, 시장에 반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FRN은 일반적으로 고정금리채와 대비되며, 투자자에게 변동하는 이자율에 따른 이익을 제공합니다. 이자율은 일정한 기간마다 재조정되어 현재의 시장금리나 기준금리와 관련됩니다. 일반적으로 FRN의 이자율은 정해진 기준금리에 특정 스프레드를 더한 값으로 결정됩니다. 이러한 스프레드는 발행자의 신용 등급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FRN의 이자 지급은 일반적으로 정기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매 3개월마다 이자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 때, 이자율이 변동하게 되면 이자 지급액도 그에 따라 조정됩니다. 즉, 이자율이 상승하면 이자 지급액도 증가하고, 이자율이 하락하면 이자 지급액도 감소합니다.

FRN은 투자자에게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시장금리의 상승에 따라 이자 수익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정금리채와는 다른 특징으로, 인플레이션 또는 경기 변동성이 높을 때 유리할 수 있습니다. 둘째, FRN은 변동성이 있는 시장에서 포트폴리오의 다변화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변동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거나 투자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FRN에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첫째, 이자율 변동성에 따라 투자 수익이 변동하므로, 이자율의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투자자는 이에 대비해야 합니다. 둘째, FRN의 이자율 결정은 발행체의 신용 등급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발행체의 신용 위험을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FRN은 투자자의 욕구와 투자 목표에 따라 유용한 도구일 수 있으나, 투자 전에는 자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투자 목표와 위험 관리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변동금리부채권(FRN, Floating Rate Note)은 이자율이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로 정해진 채권입니다. 변동금리부채권의 이자율은 일반적으로 3개월 또는 6개월마다 시장금리와 연동하여 재조정됩니다. 변동금리부채권은 고정금리부채권보다 금리가 낮은 편이지만, 금리 변동에 따라 이자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변동금리부채권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 장점: 고정금리부채권보다 금리가 낮다.
  • 단점: 금리 변동에 따라 이자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변동금리부채권은 금리 변동이 심하지 않은 경우, 고정금리부채권보다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변동이 심한 경우, 이자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변동금리부채권을 투자하기 전에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변동금리부채권에 투자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
  • 만기
  • 이자율
  • 상환 조건

 

변동금리부채권은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경우에만 투자해야 합니다. 또한, 만기, 이자율, 상환 조건 등을 꼼꼼히 비교하여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변동금리부채권을 선택해야 합니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요약내용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발췌  https://www.bok.or.kr )

 

채권은 지급이자 변동 여부에 따라 고정금리부채권과 변동금리부채권(FRN; Floating
Rate Note)으로 구분된다. 변동금리부채권은 지급이자율이 시장실세금리에 연동하여
이자지급기간마다 변동되는 채권을 말한다. 변동금리부채권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금리에 대한 장기예측이 어려울 때 금리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행된다.
통상 금리 하락기에는 발행자에게 유리하고, 금리 상승기에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변동금리부채권의 지급이자율은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된
다. 기준금리는 시장실세금리에 연동하며, 가산금리는 변동금리채 발행자의 신용위험과
기준금리 발행자의 신용위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채권발행자는 금리상승 가능성이
높아 고정금리부채권 발행이 어려울 경우 변동금리부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단저장고(短低長高)의 수익률곡선 하에서 장기자금을 낮은 단기금리로 조달하
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투자자는 변동금리부채권 투자를 통해 금리변동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오늘은 변동금리부채권(FRN)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금융용어는 정말 어렵지만 하나하나 공부하면서 조금씩 실력을 키워나간다면
경제를 이해하는 눈을 키워갈 수 있고, 하루하루 성장하는게 보여서 게을리 할 수 없네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공감과 댓글에 힘을 얻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