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경제금융용어 - 속물효과(스놉효과)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로이스토리 2023. 7. 7. 07:26
반응형

안녕하세요. 로이입니다. 

하루에 하나씩 공부하는 경제금융용어 시간입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금융용어
경제용어, 금융용어를 알아야 경제를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공부할 용어는 속물효과(스놉효과)입니다.


속물효과 또는 스놉효과는 경제학 용어로, 소비자나 사회 구성원들이 다른 사람들의 소비나 행동을 모방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적인 사회적 지위 향상, 타인의 성공에 대한 욕구, 사회적 승인을 받기 위한 욕구 등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속물효과는 일반적으로 소비 패턴에서 나타나는데, 사회적으로 인정받거나 성공적인 이미지를 갖춘 상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소비하는 상품이나 브랜드를 보고, 그들의 선택에 영향을 받아 동일한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모델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속물효과는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옷, 액세서리, 전자제품, 차량 등의 소비재 부문에서는 브랜드 이미지나 특정 상품의 인기로 인해 속물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인 성공을 나타내는 주택, 차량, 고급 레스토랑 등의 고가 상품이나 서비스에도 속물효과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속물효과는 소비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이미지를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 간의 경쟁이나 상품의 경쟁력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속물효과는 모든 소비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소비자의 가치관, 사회적 배경, 개인적인 욕구 등에 따라 속물효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속물효과는 소비 패턴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업들은 속물효과를 고려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상품을 개발합니다. 또한, 정부나 정책 결정자들은 속물효과를 고려하여 소비자의 경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수립할 수도 있습니다.

 

 

 

 

 

 

 

 

 

 

속물 효과는 제품의 희소성이 높을수록 사람들이 그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속물 효과는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고 싶어하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희소성이 높은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우월하다고 느끼고 싶어합니다.

 

속물 효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희소성이 높은 명품 브랜드의 제품은 일반 제품보다 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선호합니다. 또한, 희소성이 높은 예술 작품이나 골동품도 일반 사람들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됩니다.

 

속물 효과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기업은 제품의 희소성을 강조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은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거나, 제품의 생산량을 제한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품의 희소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속물 효과는 소비자의 선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속물 효과에 따라 소비자들은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보다는 희소성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속물 효과는 기업의 가격 책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제품의 희소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품의 가격을 과도하게 책정할 수 있습니다.

 

속물 효과는 소비자의 선택과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속물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소비자는 자신의 선택에 신중을 기할 수 있으며, 기업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간략하게 정의해 볼까요?
(요약내용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발췌  https://www.bok.or.kr )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단지 다른 사람들이 많이 구입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심지어 자신의 옷과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을
더 이상 입지 않는다. 명품브랜드 소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를 속물효과
또는 스놉효과(Snob effect)라고 한다. 즉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고 값이 오르면 오히려 수요가 늘어난다. 이 용어는 1950년
레이번슈타인(H. Leibenstein)에 의해 스놉(재산과 지위로 거만을 떠는 속물)이 선호하는
브랜드 물품이 일반 구매층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지칭하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전시효과는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오늘은 속물효과(스놉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 금융 용어를 알면 금융 시장과 경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돈을 더 잘 관리하고 재정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공감과 댓글에 힘을 얻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