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이입니다.
하루에 하나씩 공부하는 경제금융용어 시간입니다.
경제신문이나 뉴스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점은 경제 금융 공부에 대한 중요성입니다.
경제용어, 금융용어를 알아야 경제를 알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오늘은 공부할 용어는 유동성딜레마입니다.
유동성 딜레마(liquidity dilemma)는 경제학에서 발생하는 어려운 상황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딜레마는 주로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조정하거나 금융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특정 조치를 취할 때 발생합니다.
유동성 딜레마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충하는 목표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1. 경제 부양: 중앙은행은 경기를 부양하고 물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사용합니다. 이를 위해 주로 기준금리를 조정하여 자금 공급량을 조절합니다. 기준금리를 낮추면 기업들과 가계들이 저렴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며, 투자와 소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기 부양에 도움이 됩니다.
2. 금융시장 안정성: 그러나 기준금리를 너무 낮추면 금융시장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은행들의 이윤을 압박하고, 금융 시스템 전반에 걸쳐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이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가격 형성 메커니즘에 왜곡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딜레마에서는 중앙은행이 경제 부양과 금융시장 안정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기 어렵습니다. 기준금리를 낮추어 경기 부양을 추구하면서도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이는 통화정책이나 금융 안정화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됩니다.
유동성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 도구와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이러한 상충점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위험 평가와 모니터링, 그리고 정책의 탄력성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앙은행은 경제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하기 위해 유동성 딜레마를 처리하면서 통화정책을 조율하고 실행합니다.
유동성 딜레마는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는 모순적인 상황을 말합니다.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시중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촉진됩니다. 그러나,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유동성 딜레마는 중앙은행이 직면하는 가장 어려운 딜레마 중 하나입니다.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증가시켜 경제 성장을 촉진해야 하지만, 그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하거나, 국채를 매입하거나,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합니다.
유동성 딜레마는 중앙은행이 직면하는 어려운 딜레마이지만, 중앙은행은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동성 딜레마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증가시키면 시중의 유동성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늘릴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촉진됩니다. 그러나,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중앙은행은 유동성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하거나, 국채를 매입하거나,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합니다. 기준금리를 조정하면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국채를 매입하면 시중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양적 완화 정책은 시중의 유동성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정책입니다.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키면서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정리하면 이렇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요약내용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발췌 https://www.bok.or.kr )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체제는 독자적인 세계통화가 아니라 특정
국가의 통화인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여 성립된 체제였다. 따라서, 동 체제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는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
동시에 세계의 상품 및 자본 거래량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을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국제수지 적자를 기록하여 달러화 공급량을 증가시키
면 세계적으로 유동성은 증가하나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가 하락한다. 반대로, 미국이
국제수지 흑자를 내어 달러화 공급량을 감소시키면 달러화의 신용도는 상승하나 세계적
으로 유동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모순된 상황을 가리켜 미국 예일대의 Triffin
교수는 유동성딜레마라고 불렀다(동 교수의 이름을 따서 Triffin의 딜레마라고도 한다).
특정한 국가의 통화를 기축통화로 삼는 국제통화체제의 경우 이러한 모순이 불가피하여
그 국제통화체제는 내재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SDR(특별인출권) 제도가 생기게 되었다.
오늘은 유동성딜레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금융용어는 정말 어렵지만 하나하나 공부하면서 조금씩 실력을 키워나간다면
경제를 이해하는 눈을 키워갈 수 있고, 하루하루 성장하는게 보여서 게을리 할 수 없네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7.20 |
---|---|
경제금융용어 - 유동성리스크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7.20 |
경제금융용어 - 유동성 함정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7.20 |
경제금융용어 - 유동성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7.20 |
경제금융용어 - 유동비율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