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이입니다.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경제금융용어 정리 시간입니다.
경제신문이나 뉴스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점은 경제 금융 공부에 대한 중요성입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경제용어를 공부합시다!
오늘은 공부할 용어는 총산출입니다.
총산출(Gross Output)은 기업이나 산업 전체에서 생산된 총 생산물의 가치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는 총생산값으로도 불립니다. 총산출은 생산 과정에서의 모든 단계에서의 부산물과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합산하여 측정합니다.
총산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중간재와 최종생산물 포함: 총산출은 생산과정에서의 중간재(Intermediate Goods)와 최종생산물(Final Goods)을 모두 포함합니다. 중간재는 다른 생산물의 생산에 사용되는 재화로서 최종 생산물을 만들기 위한 중간 단계에서의 생산물을 의미합니다.
2. 산업 간 상호 연관성 고려: 총산출은 산업 간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합니다. 즉, 어떤 산업이 다른 산업에 중간재를 제공하는 등 산업 간의 경제적인 연결을 반영합니다.
3. 경제적인 중요성: 총산출은 국가 또는 지역의 경제 활동을 평가하고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총산출이 높을수록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생산과 소비가 증가한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4. GDP 산출과 관련: 총산출은 국내총생산(GDP)를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핵심 지표 중 하나입니다. GDP는 국가 전체의 총생산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총산출을 통해 중간재의 중복을 제외하고 계산됩니다.
총산출은 경제 활동의 규모를 측정하고 산업 간의 연결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는 국가의 경제 성장과 생산 능력을 평가하고 산업 정책 및 경제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총산출(gross output)은 한 나라의 경제에서 한 해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을 말합니다. 총산출은 국내총생산(GDP)의 한 부분으로, GDP에서 중간재를 제외한 최종재의 시장가격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총산출은 경제의 규모와 성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총산출이 증가하면 경제가 성장하고, 총산출이 감소하면 경제가 위축됩니다. 총산출은 또한 경제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총산출의 구성을 분석하면 경제에서 각 산업의 비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총산출은 한 나라의 경제를 이해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총산출을 통해 경제의 규모와 성장,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제를 안정시키고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총산출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총산출 = 생산자물가지수 * 총생산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가 판매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총생산은 한 나라의 경제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양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총산출은 생산자물가지수와 총생산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총산출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1차 산업: 농업, 임업, 어업
- 2차 산업: 제조업, 건설업
- 3차 산업: 서비스업
총산출은 경제의 구조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총산출의 구성을 분석하면 경제에서 각 산업의 비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총산출에서 1차 산업의 비중이 높으면 경제가 농업, 임업, 어업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총산출에서 2차 산업의 비중이 높으면 경제가 제조업, 건설업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총산출에서 3차 산업의 비중이 높으면 경제가 서비스업 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요약내용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발췌 https://www.bok.or.kr )
총산출(gross output)이란 개념적으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화폐평가액을 총합한
것으로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포함한다. 그러나 국민계정에서는 생산주체별로 비용구조
와 산출물 형태가 같지 않으므로 총산출의 개념도 산업,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
단체, 가사서비스 등 생산주체별로 다르다. 산업의 총산출은 일반적으로 일정 회계기간
에 생산된 모든 재화와 용역의 시장가격을 의미하는데 재고품과 자가소비를 위한 생산도
포함하며 이의 평가는 생산자가격에 의해서 행해지거나 생산자가격에서 연관된 순상품
세를 공제한 기초가격에 의하여 평가된다. 거래가격이 존재하는 재화의 총산출은 생산량
과 거래가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서비스업의 경우 요금이나 수수료 등 제공한
서비스의 대가로 받은 수입을 총산출로 계상한다. 다만 도소매업과 같은 유통업이나
수량화가 곤란한 서비스를 판매하는 금융업 등은 총산출에 대한 별도의 정의가 필요하
다. 도소매업의 경우 판매금액과 매입금액의 차액인 거래마진, 금융업은 실제서비스
수수료와 금융중개서비스, 보험업은 수취한 보험료와 보험준비금의 투자수익을 합한
금액에서 보험금 지급액과 지급준비금 추가적립액 등을 차감한 보험서비스료를 의제하
여 총산출로 간주한다. 정부 및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가 공급하는 서비스는 보통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이 아니므로 시장가격으로 평가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서비스의 생산에 들어간 중간투입과 부가가치를 합한 총투입비용을 총산출로 계상한다.
또한 가사서비스업은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것이 노동뿐이므로 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수취한 급여(피용자보수)를 총산출로 본다.
오늘은 총산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금융용어는 정말 어렵지만 하나하나 공부하면서 조금씩 실력을 키워나간다면
경제를 이해하는 눈을 키워갈 수 있고, 하루하루 성장하는게 보여서 게을리 할 수 없네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공감과 댓글에 힘을 얻어요.
안녕하세요. 로이입니다.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경제금융용어 정리 시간입니다.
경제신문이나 뉴스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점은 경제 금융 공부에 대한 중요성입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경제용어를 공부합시다!
오늘은 공부할 용어는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입니다.
간략하게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요약내용 출처 :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선 발췌 https://www.bok.or.kr )
오늘은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제금융용어는 정말 어렵지만 하나하나 공부하면서 조금씩 실력을 키워나간다면
경제를 이해하는 눈을 키워갈 수 있고, 하루하루 성장하는게 보여서 게을리 할 수 없네요.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공감과 댓글에 힘을 얻어요.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 총부채상환비율(DTI)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8.05 |
---|---|
경제금융용어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8.05 |
경제금융용어 - 청산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8.05 |
경제금융용어 - 총고정자본형성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8.05 |
경제금융용어 - 청년실업률이란?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0) | 2023.08.05 |